서던 디스트릭트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던 디스트릭트 FC는 2002년 창단된 홍콩의 축구 클럽이다. 홍콩 제3구역 디비전 리그에서 시작하여 2009-10 시즌 홍콩 제2 디비전으로 승격되었고, 2011-12 시즌에는 홍콩 제1 디비전으로 승격되었다. 2013-14 시즌에는 로얄 서던으로, 2015-16 시즌부터는 권충 서던으로 팀명을 변경했다. 2016-17 시즌에는 리그 3위를 기록했으며, 2018-19 시즌에는 홍콩 FA컵 준우승을 차지했다. 2022-23 시즌에는 사플링 컵에서 우승했다. 애버딘 스포츠 그라운드를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2024년 기준 양칭광이 감독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 프리미어리그 구단 - 사우스 차이나 AA
사우스 차이나 AA는 1904년 홍콩에서 창단된 스포츠 클럽으로, 축구팀을 중심으로 홍콩 축구 역사상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며 AFC 챔피언스 리그 등 국제 대회에도 참가했으나, 2017년 1부 리그에서 자진 강등되어 아마추어 선수단으로 운영되고 있다. - 홍콩 프리미어리그 구단 - 홍콩 레인저스 FC
홍콩 레인저스 FC는 1958년 창단되어 유소년 육성과 유럽 프로 선수 영입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2023-24 시즌 홍콩 컵 우승과 AFC 챔피언스 리그 참가, 그리고 스폰서에 따른 클럽 명칭 변경과 웡친훙 감독 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홍콩의 축구 클럽이다. - 2002년 설립된 축구단 - 알비렉스 니가타 레이디스
2002년 창단된 알비렉스 니가타 레이디스는 일본 여자 축구단으로, 호쿠신에쓰 여자축구리그 우승 후 나데시코 리그를 거쳐 WE리그에 참가하며 황후배 준우승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2018년에는 주식회사로 독립하였다. - 2002년 설립된 축구단 -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FC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FC는 FC페라다 후쿠시마와 후쿠시마 유메슈단 융커스가 합병하여 탄생한 일본 프로 축구 클럽으로, J3리그에 참가하며 동일본 대지진 이후 지역 사회 재건에 기여하고, 지역 사회의 단결과 발전을 위해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서던 디스트릭트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남구 강락체육촉진회 유한공사 |
별칭 | 애버디너스 |
창단 | 2002년 |
홈 구장 | 애버딘 스포츠 그라운드 |
수용 능력 | 4,500명 |
구단주 | 매튜 웡 |
회장 | 천원준 |
감독 | 양정광 |
대표 | 정조총 |
리그 | 홍콩 프리미어리그 |
시즌 | 2023–24 시즌 |
최종 순위 | 5위 |
웹사이트 | 남구 축구회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2002년 서던은 홍콩 3부 리그에 참가하여 초반에는 승격에 어려움을 겪었다.[1] 2006-07 시즌과 2007-08 시즌에는 3부 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승격에는 실패했다.
2009-10 시즌, 서던은 3부 리그 준우승 후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3위를 기록했다. 이스턴이 승격을 포기하면서 홍콩 2부 리그 승격 기회가 주어졌다.[1] 2010-11 시즌, 서던은 2부 리그 4위를 기록하며 잔류했고, 홍콩 주니어 챌린지 실드에서 우승하며 창단 첫 트로피를 획득했다.[1]
2011-12 시즌, 2부 리그 준우승으로 구단 역사상 최초로 홍콩 1부 리그(현 홍콩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1] 2013-14 시즌에는 '로열 서던'으로 팀명을 변경하고 리그 4위를 기록했지만, 시즌 후 자진 강등되었다.[1]
2015-16 시즌, 다시 1부 리그로 복귀하며 '권충 서던'으로 팀명을 변경했다.[1] 이후 중상위권 성적을 유지했다. 2016-17 시즌에는 리그 3위를 기록했다.[1]
2018-19 시즌, 다시 리그 3위를 달성하고, 홍콩 FA컵 결승에 진출했지만 키치에게 패해 준우승했다.[2] 2022-23 시즌에는 홍콩 사플링컵에서 우승하며 구단 첫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3]
2. 1. 팀명 변천
3. 경기장
권충남구 FC는 2007년부터 애버딘 스포츠 그라운드(홍콩 자이 운동장)를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4] 홍콩 3부 리그 시절부터 이곳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홍콩 1부 리그로 승격된 후에도 계속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018년 9월, 애버딘 스포츠 그라운드의 주 경기장 지붕이 태풍 망쿳으로 인해 손상되었다.[4] 임시 지붕이 반대편 스탠드에 설치되어 2018-19 시즌 남은 기간 동안 경기장을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레저 문화 서비스부는 2019년 6월에 주 경기장에 새로운 지붕 설치를 시작하기로 결정했다.[5] 보수 공사가 2020년 3월 말까지 진행될 예정이어서, 권충남구 FC는 2019-20 시즌 동안 몽콕 스타디움을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하도록 신청했다.[6]
4. 선수단
번호 포지션 이름 국적 7 FW 스테판 페레이라 홍콩 18 FW 마하마 아왈 홍콩
수정 사항: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응와이힘 | 홍콩 |
2 | DF | 찬윤퉁 | 홍콩 |
4 | DF | 가와세 코타 | 일본 |
5 | DF | 가브리엘 야노 | 브라질 |
6 | MF | 케시 | 브라질 |
7 | FW | 스테판 페레이라 | 홍콩 |
8 | MF | 리카유 | 홍콩 |
9 | FW | 그레고리 | 브라질 |
10 | MF | 요나탄 아코스타 | 아르헨티나 |
11 | MF | 사사키 슈 | 일본 |
13 | GK | 찬카호 | 홍콩 |
14 | DF | 송주호 | 대한민국 |
15 | MF | 라이깍이 | 홍콩 |
16 | DF | 착팅풍 | 홍콩 |
17 | MF | 라파엘 메르키에스 | 홍콩 |
18 | FW | 마하마 아왈 | 홍콩 |
19 | MF | 이치카와 소고 (키체로부터 임대) | 홍콩 |
20 | FW | 야우척펑 | 홍콩 |
21 | DF | 웡호인 | 홍콩 |
23 | MF | 융호 | 홍콩 |
24 | MF | 쥐잉즈 | 홍콩 |
26 | DF | 찬호이팍 | 홍콩 |
27 | MF | 총춘 | 홍콩 |
28 | MF | 청궉펑 | 홍콩 |
31 | GK | 응안응오틴 | 홍콩 |
32 | GK | 막츠힌 | 홍콩 |
90 | FW | 잭슨 소사 | 브라질 |
비고: FP: 이 선수들은 외국인 선수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
4. 2. 역대 주요 선수
이치카와 사토시[1]5. 클럽 운영진
南區足球會|남구 축구회중국어는 회장, 구단 총감, 단장, 비서, 사서, 행정 관리 등으로 구성된 운영진과 감독, 피지컬 코치, GK 코치 등으로 구성된 코칭 스태프를 두고 있다.[9][10]
5. 1. 임원진 (2023년 10월 기준)
직책 | 이름 |
---|---|
구단주 | 陳文俊|찬만춘중국어 |
구단 회장 | 黃焯添|웡척팀중국어 |
구단 총감 | 黃焯添|웡척팀중국어 |
단장 | 陳恆龍|챈헝렁중국어 |
비서 | 鄭錫容|쳉셱용중국어 |
사서 | 陳潤添|챈윤팀중국어 |
행정 관리 | 梅恆富|무이헝푸중국어 |
5. 2. 코칭 스태프 (2024년 7월 기준)
직책 | 스태프 |
---|---|
감독 | 양칭광 |
기술 이사 | 청샤우충 |
코치 | 베토 프론자 |
코치 | 주잉즈 |
골키퍼 코치 | 판춘입 |
팀 매니저 | Pui Ho Wang |
물리 치료사 | 렁차케이 |
물리 치료사 | 치우치얏 |
6. 역대 감독
국적 | 이름 | 재임 기간 |
---|---|---|
{{lang|zh-hk|청샤우충|} | } || 2006–2008